RENEWABLE
ENERGY

PIONEERING THE CORE OF
FUTURE ENERGY WITH RENEWABLES

R&D

  • 재생에너지 사업부문
  • R&D

미래 에너지 기술을 선도하는 신성이엔지 R&D, 끊임없는 도전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갑니다.

기술 분야
01모듈
Half-cut 기술
  • 저항에 의한 전압 손실 저감
  • 온도 특성 개선을 통한 발전량 손실 저감
Multi-wire 기술
Multi : Multi Busbar(MBB) 기술
전류 이동 통로 증가를 통한 전력 손실 저감
  • 전류 이동거리 감소에 따른 직렬 저항 감소 전력 손실 감소
  • 전류에 의한 저항 발열 감소
  • Crack 발생 시 다양한 우회로를 통한 전력 저하 둔화 신뢰성 향상
Wire
Wire 적용에 따른 발전량 증가
  • 원형에 의한 반사광 증가로 수광량 증가
  • Busbar 선폭 감소에 따른 태양전지 간 Interconnection 가능 형상
  • Interconnection 에 의한 Shading effect loss 최소화
Larger Solar Cell 기술
  • 태양전지 크기는 수광 면적이며 더 많은 면적에서 전류가 생성됨
  • 더 큰 태양전지를 모듈화 하기 위한 태양광 모듈 설계 기술이 필요
  • 01
    기계적 강도 확보
  • 02
    전기 안전성 확보
  • 03
    공정성 확보
태양전지 크기 증가로 수광 면적이 증가하며 발전 전류 증가
Bifacial 기술
  • 직접광(전면) 뿐만 아니라 간접광(후면)까지 활용하여 발전하는 기술
  • 지면 반사, 구조물의 위치 등 발전소 설계에 따라 5~20%까지 추가 발전 가능
02
PERC (Passivated Emitter and Rear Contact)
  • 후면에 국소적인 BSF(Back Surface Field)를 형성하고, Passivation을 통한 재결합율을 낮추어 효율 향상
  • 후면 passivation layer에서의 내부 반사율 증가시켜 광흡수율 향상
  • 약 22~23%의 효율
TOPCon (Tunnel Oxide Passivated COntact)
  • Tunneling effect를 활용한 재결합 방지 기술 적용
  • 열 처리시 부분적으로 결정화 되는 poly-BSF 층과 1.5nm 이하의 매우 얇은 터널 산화막(Tunnel Oxide)으로 구성
  • nTOPCon 구조일 경우, pPERC 구조 태양전지보다 약 1%의 효율 상승 효과
03BIPV
Solarskin
  • 특수 필름을 통한 가시광선 영역에서 반사광을 조정하여 색 구현
  • 색 구현에 필요하지 않는 광 파장을 활용하여 발전 (White Color의 경우, 가시광선 전 영역 반사, 약 11% 효율)
  • 다양한 각도에서도 동일한 색상 유지
  • 눈부심 방지(AG, Anti-glare) 기능 적용
적용사례
Case 01
판교 제2테크노밸리 글로벌비즈센터 55kW 설치
Case 02
대구 수성구 두산동 행정복지센터 15.3kW 설치
Case 03
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성능평가동 4.8kW 설치
Case 04
부산 에코델타시티 커뮤니티센터 10kW 설치